컨텐츠영역 바로가기 하단영역 바로가기

똑같은 이름, 시대마다 다른 모습의 의복

똑같은 이름, 시대마다 다른 모습의 의복
옛날 사람들은 어떤 옷을 입고 살았을까? 의복은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 따른 생활양식의 표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바뀌었다.
사회발달에 따른 계급 차이, 문화·종교의 발달, 외국 문화의 수용, 남녀 성별에 따른 변천요인 등에 따라 점차 다양해졌다.
한반도의 역사 또한 의복의 변화와 함께 흘러왔다. 고구려·백제·신라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의복의 변천을 시대상과 함께 알아보자.
저고리

01 고구려

저고리(襦)

상대시대 저고리인 유(襦)의 길이는 엉덩이선까지 오고, 소매는 좁은 통과 같았다. 또한 곧은 깃에 여밈이 겹쳐지는 모양이다. 허리에는 띠를 매에서 고정했다. 깃과 도련 그리고 소매 끝은 저고리 바탕색과 다른 색의 천으로 둘렀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저고리는 남녀가 같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이 모두 같았다.

단의

02 통일신라

단의

통일신라에서는 저고리를 위해(尉解)라고 불렀는데, 흥덕왕 복식금제의 기록에는 단의(短衣)라고 하고 있어 오늘날의 저고리와 짧은 저고리를 의미하는지, 두루마기에 비해 짧다는 뜻에서 명명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대부분 여자가 착용하였으며 치마를 저고리 위에 입을 때 짧은 저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백저의

03 고려

백저의

고려시대의 여자복식에 대해 『고려도경』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여자의 옷은 흰 모시저고리인 백저의와 황상(노랑치마)은 우리 고유의 양식으로 계급과 상관없이 착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귀족 여자들은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白苧布)를 착용했으며, 그 제도는 남자의 포와 비슷하다.

여복

04 조선

여복

조선시대에는 저고리와 같은 뜻으로 ‘곁막음[脥隔音]’ 또는 ‘곁막이[絹莫伊]’가 있고, 궁중용어로는 ‘동의대(胴衣襨)’라는 말도 쓰였다.저고리의 구성은 길·소매·깃·동정·고름이 기본형제이며, 여자는 끝동이 달리기도 한다.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홑[單]·겹·솜·누비저고리가 있으며, 여자 저고리 중 ‘당코저고리’는 깃의 모양에 따른 것이다.

대중고, 궁고

01 고구려

대중고, 궁고

상대시대 바지인 고(袴)는 용도에 따라서 그 폭과 길이가 달랐다. 그에 따라 궁고(밑이 막힌 바지), 세고(폭이 좁은 바지), 대구고(폭이 넓은 바지), 곤(길이가 짧은 잠뱅이 형태)와 같이 다양한 바지가 용도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러한 바지는 남녀가 공통으로 착용했다.

바지 고(袴)

02 통일신라

바지 고(袴)

통일신라에서는 저고리를 위해(尉解)라고 불렀는데, 흥덕왕 복식금제의 기록에는 단의(短衣)라고 하고 있어 오늘날의 저고리와 짧은 저고리를 의미하는지, 두루마기에 비해 짧다는 뜻에서 명명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대부분 여자가 착용하였으며 치마를 저고리 위에 입을 때 짧은 저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민서복

03 고려

민서복

고려시대의 여자복식에 대해 『고려도경』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여자의 옷은 흰 모시저고리인 백저의와 황상(노랑치마)은 우리 고유의 양식으로 계급과 상관없이 착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귀족 여자들은 치마저고리 위에 흰색 모시로 만든 백저포(白苧布)를 착용했으며, 그 제도는 남자의 포와 비슷하다.

남복, 여복

04 조선

남복, 여복

조선시대에는 저고리와 같은 뜻으로 ‘곁막음[脥隔音]’ 또는 ‘곁막이[絹莫伊]’가 있고, 궁중용어로는 ‘동의대(胴衣襨)’라는 말도 쓰였다.저고리의 구성은 길·소매·깃·동정·고름이 기본형제이며, 여자는 끝동이 달리기도 한다. 저고리는 감·재봉법·모양에 따라 홑[單]·겹·솜·누비저고리가 있으며, 여자 저고리 중 ‘당코저고리’는 깃의 모양에 따른 것이다.

치마(裳)

01 고구려

치마(裳)

상대시대 치마(裳 또는 裙)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릴 정도였다. 허리에서 치마단 끝까지 잔주름이 고르게 잡혀 있으며 치마단에는 장식선인 선을 두르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귀족층은 폭이 넓은 치마를, 하층민은 폭이 좁은 치마를 착용하였으며 치마 밑에는 반드시 바지를 입었다.

표상, 내상

02 통일신라

표상, 내상

통일신라에 이르러 여인들은 신분의 귀천없이 치마를 입게 되었다. 여기에 속치마라고 불리는 내상(內裳)을 껴입은 것은 복식금제에서 처음으로 나온 제도이다. 기존 상대시대의 치마인 표상(表裳) 안에 내상을 입었다는 것은 복식구조가 발전하여 복잡해지고 있는 것을 말해준다.

선군

03 고려

선군

고려시대에는 저고리를 겉으로 내어 입는 양식과 안으로 넣어 입는 양식이 공존한 것으로 보인다. 송宋의 사신인 서긍徐兢이 고려를 다녀간 후 저술한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려 여인들이 황색 치마를 좋아한다는 내용이 있다. 또한 ‘선군’이라는 치마를 입는데, 여러 겹 겹쳐 입고 폭이 넓을수록 좋아한다고 기록하였다.

대란, 스란치마

04 조선

대란, 스란치마

조선시대에는 치마를 먼저 입고 저고리를 밖으로 내어 입는 양식으로 일원화되었다. 조선 전기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길었으므로 치마를 허리에 둘러 입었다. 한편 16세기에는 뒤가 길게 끌리는 예복용 치마가 있었으며, 이 치마들은 뒷자락이 바닥에 끌리고 앞은 뒤보다 짧아 바닥에 맞닿게 만든 것이 특징이다.

포(袍)

01 고구려

포(袍)

상대시대의 포(袍)의 기본형태는 상대시대의 저고리인 유(襦)와 같아서 깃, 도련, 소매부리에 선이 둘러졌다. 또한 저고리와 같이 곧은 깃에 여밈이 겹쳐지는 모양이다. 포는 현재는 두루마기라고도 불리며 저고리와 바지 위에 입던 겉옷으로 주로 방한과 의례적인 용도로 입었다.

표의 - 단령

02 통일신라

표의 - 단령

통일신라 시대의 표의(表衣)는 포(袍)와 상류층 관복으로서 단령(團領)이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표의를 신분의 귀천 없이 남녀 모두 착용하였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시대 여성은 저고리인 단의를 입고 의례적인 경우에만 표의를 덧입었다. 표의 위에는 배자의 일종인 배당을 입었으며, 반비와 달리 소매가 없는 옷이었다.

공복

03 고려

공복

고려시대에 포는 관복과 편복으로 널리 착용되었다. 왕과 백관은 둥근 깃의 포를 주로 입었는데 소매통이 좁은 것도 있고 넓은 것도 있었다. 왕은 각종 의례에서, 문무백관은 공복으로 입었다. 편복으로는 통일신라 때의 포가 고려에서도 그대로 습용되는 가운데, 원 간섭기에 중국으로부터 여러 포가 전해져 그 종류가 다양해졌다.

별감복

04 조선

별감복

조선시대에도 포는 관복과 편복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왕은 각종 의례에서 강사포와 곤룡포를, 문무백관은 공복으로 홍포, 청포, 녹포를 입었고, 상복과 시복으로 단령을 입었다. 편복을 보면 조선시대 초기부터 임진왜란까지는 고려시대에 입었던 포를 그대로 착용하였다.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단령을, 사사로운 자리에서는 직령을 많이 입었다.

내가 제일 잘나가, 그 옛날 조상들의 몸치레

궁궐 안, 특별한 사람들이 산다
오늘날 궁궐은 서울 도심부에서 특유의 기품을 뽐내며 우리에게 역사와 문화의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궁궐은 왕족이 사는 큰 규모의 건물인 궁(宮)과 궁의 출입문 좌우 망루를 의미하는 궐(闕)이 합쳐진 단어다. 국가의 중심지이자 왕의 생활공간인 궁궐은
왕을 비롯한 왕족, 그리고 그들의 생활을 돕는 궁녀와 내시들이 상주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처럼 궁중 생활은 많은 사람이 함께하기 때문에
왕권 국가에서 엄격한 규범 아래 행해졌으며, 그들의 옷차림 또한 각각의 지위와 역할을 그대로 나타낸다.

01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로 알아보는 조선시대 궁궐 안 사람들

1759년 5월~6월에 영조(英祖)가 오흥부원군(鰲興府院君) 김한구(金漢耉)의 딸을 계비(정순왕후(貞純王后)로 맞는 과정을 기록한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상·하 2책 중 하책에 수록된 반차도이다. 1757년(영조 33)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가 승하하고 삼년상이 지나자 왕실 가례의 예법인 육례(六禮)의 절차에 따라 계비를 맞았다. 이 반차도는 18세기 어람용 반차도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동시에 19세기 친영 반차도 제작의 규례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왕의 행진

조선 왕 조복

영조는 왕의 대례복을 입고 있다. 대례복은 조선의 왕이 제례나 가례 등 중요한 의례를 행할 때 면관과 함께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또한 왕권을 상징하는 법복으로, 국가의 길례, 가례, 흉례 등 다양한 성격의 의례에 착용하는 복식이다.

자세히보기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왕비의 행진

조선 왕비 원삼

정순왕후는 조선의 왕비가 매일 문안, 종친 및 외명부 접견 등의 의례에 참석할 때 입는 복식인 소례복을 입고 있다. 왕비는 의식의 규모에 따라 치마, 저고리 위에 당의나 원삼을 착용한다.

자세히보기

조선 백관 융복 융복은 조선의 백관이 군사(軍事)가 있을 때 착용하는 복식이다. 융복은 립(笠), 철릭, 광다회, 목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까지 왕 이하 백관 모두가 관복을 대신하여 입었다.
조선 너울 말을 탄 궁녀와 정5품 궁녀가 너울, 여립, 장삼, 치마를 입고 왕비의 가마 주변을 걷고 있다. 너울은 조선시대 왕비, 왕세자빈, 왕녀, 군부인, 궁녀, 외명부 등의 상류층 여인들이 얼굴을 가리기 위해 착용한 쓰개이다. 립(笠) 위에 얹어 어깨를 가릴 정도의 길이로, 고려시대의 몽수(蒙首)보다 길이가 조금 짧다.

내가 제일 잘나가, 그 옛날 조상들의 몸치레

02 세부 유물들

조선 왕의 상복

조선 왕의 상복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모습으로 임금이 쓰는 모자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곤룡포의 각진 윤곽선과 양다리쪽에 삐져나온 옷의 형태는 조선 전기 공신상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자세히보기

조선 왕비 원삼

조선 왕비 원삼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1894~1966)가 백옥떨잠이 장식된 큰머리에 원삼(圓衫)을 착용한 모습이다. 원삼 위에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팔 아래로 내려오는 수대(綬帶)를 걸었다. 왼쪽 가슴에는 황태자 가례 기념장을 비롯하여 여러 개의 훈장을 달았다. 상단에 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오얏꽃 문장이 있다.

자세히보기

백관의 조복

백관의 조복

금관조복은 문무백관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예복으로 착용하는 가장 성대한 복식이다. 금관을 쓰고 서대를 착용하였으며 상아홀을 들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된 금관조복본과 거의 유사하여 미세한 부분적인 차이들을 감안하더라도 하나의 초본을 대상으로 한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복본이나 별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자세히보기

내가 제일 잘나가. 그 옛날 조상들의 몸치레

내가 제일 잘나가. 그 옛날 조상들의 몸치레
인간이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자신을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꾸미는 방법은 몸을 꾸미는 방법과 복식을 활용해 치장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의복과 함께 어울리는 장식으로 자신을 꾸미는 것은 모든 시대 사람들의 각자 생활 양식을 표현한 생활 문화의 대표적인 산물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전근대 사회에서의 치장은 신분에 따라 소재, 색장, 크기 등에 제약을 두었으며, 개인적인 기호보다 신분적 제약이 두드러졌다.

조선탕건

머리에 쓰던 관(冠)의 일종인 모자로, 조선시대에는 관직자가 평상시에 관을 대신하여 썼다. 속칭 ‘감투’라고도 하여 벼슬에 오르는 것을 일컫는 ‘감투쓴다’는 표현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조선 안경

안경은 서양에서 발명되었다는 설과 중국에서 발명되었다는 설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안경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나라 장수 심유경(沈惟敬)과 왜의 승려 현소(玄蘇) 모두 작은 글자를 크게 보이게 하는 안경을 사용하여 가늘고 작은 글씨를 읽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보지 못하던 것이라고 하였다.

조선 미투리

짚신과 미투리는 모양은 같으나 재료에 차이가 있다. 미투리는 삼, 왕골, 부들 같은 재료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은혜를 갚을 때, 머리털로 신을 삼아도 다 못 갚는다는 말을 한다. 모양은 목이 낮고 개방형으로 흔히 날이 여섯 개로 되어 있다. 짚신과 비슷하지만 짚신보다 고급스러운 물건이다.

조선 안경

안경은 서양에서 발명되었다는 설과 중국에서 발명되었다는 설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안경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나라 장수 심유경(沈惟敬)과 왜의 승려 현소(玄蘇) 모두 작은 글자를 크게 보이게 하는 안경을 사용하여 가늘고 작은 글씨를 읽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보지 못하던 것이라고 하였다.

조선 미투리

짚신과 미투리는 모양은 같으나 재료에 차이가 있다. 미투리는 삼, 왕골, 부들 같은 재료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은혜를 갚을 때, 머리털로 신을 삼아도 다 못 갚는다는 말을 한다. 모양은 목이 낮고 개방형으로 흔히 날이 여섯 개로 되어 있다. 짚신과 비슷하지만 짚신보다 고급스러운 물건이다.

조선탕건

머리에 쓰던 관(冠)의 일종인 모자로, 조선시대에는 관직자가 평상시에 관을 대신하여 썼다. 속칭 ‘감투’라고도 하여 벼슬에 오르는 것을 일컫는 ‘감투쓴다’는 표현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조선 미투리

머리에 쓰던 관(冠)의 일종인 모자로, 조선시대에는 관직자가 평상시에 관을 대신하여 썼다. 속칭 ‘감투’라고도 하여 벼슬에 오르는 것을 일컫는 ‘감투쓴다’는 표현도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조선탕건

짚신과 미투리는 모양은 같으나 재료에 차이가 있다. 미투리는 삼, 왕골, 부들 같은 재료로 만든 것을 말한다. 은혜를 갚을 때, 머리털로 신을 삼아도 다 못 갚는다는 말을 한다. 모양은 목이 낮고 개방형으로 흔히 날이 여섯 개로 되어 있다. 짚신과 비슷하지만 짚신보다 고급스러운 물건이다.

조선 안경

안경은 서양에서 발명되었다는 설과 중국에서 발명되었다는 설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안경이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나라 장수 심유경(沈惟敬)과 왜의 승려 현소(玄蘇) 모두 작은 글자를 크게 보이게 하는 안경을 사용하여 가늘고 작은 글씨를 읽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일찍이 보지 못하던 것이라고 하였다.

조선 댕기

유물로 남아있는 댕기는 대부분 왕실용과 박물관에 소장된 혼례용 댕기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투락(都吐絡)’이라는 용어는 16세기에 본래 금박을 의미하는 ‘도다익(都多益)’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19세기 전반에는 도토락이라는 금박을 찍은 댕기가 많이 사용되었고, 반드시 혼례용 댕기만 도투락이라고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삼작노리개

노리개는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이다. 기원이 삼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만큼 오래된 우리 고유의 장신구 노리개는 조선 시대에 와서 더욱 다채롭고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노리개는 몸체, 매듭 장식, 술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옷고름에 차기 위해 은이나 동으로 만든 핀에 해당되는 띳돈도 있다.

조선 당혜